본문 바로가기
경제 스토리랩

[브랜드 스토리]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의 역사

by 스토리랩 권프로 2025. 3. 30.
반응형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의 글로벌 여정을 담은 따뜻한 호주 감성의 배경에 아웃백 로고와 울룰루, 캥거루 일러스트가 어우러진 디자인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의 역사: 오지의 맛이 세계로 뻗어나간 여정

스테이크 하나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아웃백, 그 놀라운 시작과 성장의 비밀을 아시나요?
그리고 현재는 BHC 계열사가 된 아웃백 이야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2025년 3월 30일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판교점 세트 메뉴

 

안녕하세요? 권프로 입니다.
오늘은 정말 흥미롭고도 맛있는 이야기를 들고 왔어요. 바로 우리가 다들 한 번쯤은 가봤을, 그리고 갈 때마다 기대하게 되는 그곳—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저는 어제 여자 친구와 함께 아웃백에 다녀왔는데요, 오랜만에 먹는 부시맨 브레드에 감탄하고, 스테이크 한 점에 미소가 절로 지어졌답니다. 그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도대체 이 브랜드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그래서 오늘은 그 유래와 성장 과정, 브랜드 철학까지 쭉 파헤쳐보려고 해요. 같이 궁금해하셨던 분들, 이 글 끝까지 함께해 주세요!

 

 

1. 아웃백의 탄생 배경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는 1988년 미국 플로리다주 탬파에서 네 명의 레스토랑 경영자에 의해 시작됐어요. 이들은 호주에 가본 적은 없었지만, "자유롭고 모험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던 호주를 브랜드 콘셉트로 선택했죠. 저는 당연히 호주 브랜드인줄 알았어요 하는 분들이 저처럼 많으셨을 겁니다. 사실은 미국 브랜드인 것이죠!

그 결과,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오지(Aussie) 스타일’의 인테리어와 감성이 가득한 아웃백이 탄생하게 됩니다. 이름부터가 'Outback'—호주의 광활한 사막 지대를 뜻하죠. 이들의 전략은 단순했어요. 고급 스테이크를 캐주얼한 분위기에서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자는 것. 그리고 그 전략은 완벽히 들어맞았죠.

2. 글로벌 확장의 여정

 올해 2월에 TGI프라이데이스를 운영하는 엠에프지코리아는 국내 매장 14곳의 운영을 다음 달까지 모두 종료한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한때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의 부흥기에 등장해 ‘금요일 할인’을 제공하며 가족 단위 고객들에게 사랑을 받았던 TGI프라이데이스가 추억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던 것입니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부흥기가 시작된 시기는 1990년였다고 합니다. 1992년 TGI프라이데이스가 상륙했고, 1995년 토니로마스·베니건스·시즐러, 1996~1997년 아웃백과 빕스가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그 뒤에는 2001년에는 애슐리가 문을 열었다. 깔끔한 인테리어와 다양한 메뉴, 차별화된 서비스 등을 내세운 패밀리 레스토랑은 가족 및 연인과 함께 찾는 대표적인 외식 장소로 급부상했습니다. 현재는 아웃백, 빕스, 애슐리만 살아남았습니다. 

출처 : 시사저널(https://www.sisajournal.com)

연도 확장 지역 특징
1996 한국 아시아 첫 진출, 폭발적 인기
1997~2000 일본, 브라질, 영국 현지화 전략 도입
2000년대 중반 전 세계 20여 개국 글로벌 외식 브랜드로 자리매김

3. 한국 진출과 인기 요인

1997년 4월, 서울 공항 매장을 오픈한 아웃백은 단숨에 화제를 모았어요. 당시만 해도 ‘패밀리 레스토랑’이라는 개념이 생소했던 시절이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웃백은 가족 외식, 데이트 장소, 생일파티의 성지로 자리 잡았답니다. 왜 이렇게 인기를 끌었을까요?

  • 부시맨 브레드 & 블루밍 어니언 등 독창적인 메뉴
  • 고급스러운 분위기 + 캐주얼한 서비스의 조화
  • 브랜드 특유의 오지 컨셉이 주는 이국적 매력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시그니처 부시맨 브레드


현재는 전국 80여개 매장에 약 3,500여 명이 근무하는 큰 회사가 된 것 같습니다.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코리아는 전 세계 아웃백의 약 10%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을 제외하고는 세계적으로 최대 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는 2008년 5월 13일,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 최초로 100호점 김해점을 오픈했습니다.

 

아웃백이 단순히 미국식 스테이크만을 고집했다면 지금처럼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 있었을까요? 정답은 ‘아니요’입니다. 아웃백은 시장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며 끊임없는 진화를 이어왔어요. 특히 한국 시장에서는 로컬 입맛에 맞춘 메뉴 개발이 눈에 띄었죠. 저는 특히 투움바 파스타와 한우 스테이크를 참 좋아합니다. 

도입 시기 로컬화 메뉴 특징
2000년대 초반 매운 파스타, 김치볶음밥 한국인의 매운맛 취향 반영
2010년대 한우 스테이크, 와규 프리미엄 메뉴 확대
최근 시즈널 한정 메뉴 SNS 감성 자극, 마케팅 연계

5.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마케팅

아웃백은 호주 감성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녹여내는 데 매우 공을 들여왔어요. 로고, 인테리어, 메뉴 명칭까지도 전부 그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죠. 하지만 그보다 더 눈에 띄는 건 마케팅 전략이에요. 특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했죠:

  • ‘생일에는 아웃백’ 프로모션을 통한 브랜드 충성도 강화
  • 멤버십, 할인 쿠폰 등 충성 고객 유도 전략
  • 감성적인 TV 광고와 시즌별 한정 메뉴 출시

 

관련 출처 :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공식 유투브, 그때 그 광고
https://www.youtube.com/watch?v=pMT3UrEw-0I&list=PLp8_qzKJfM84bFmynRDE60908zf7N1o3s&index=31

 

6. 아웃백의 미래 방향성

외식 트렌드가 빠르게 바뀌는 시대, 아웃백은 어떤 미래를 준비하고 있을까요? 몇 가지 키워드로 그 방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어요.

  1. 프랜차이즈에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의 전환
  2. 비건·헬시 메뉴 확장
  3. 온라인 주문 및 배달 시스템 고도화
  4. 젊은 세대를 위한 '미식+경험' 공간으로의 리브랜딩

 

오늘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의 역사를 함께 따라가 보니, 단순한 외식 브랜드가 아니라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은 느낌이 들지 않으셨나요? 저도 이렇게 글을 정리하면서 새삼스럽게 '왜 아웃백이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지' 다시 느꼈어요. 이제 아웃백에 가게 된다면, 그냥 스테이크 하나 먹고 오는 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철학과 이야기까지 함께 즐길 수 있을 것 같아요. 여러분은 어떤 메뉴가 가장 기억에 남으셨나요?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다음에 또 다른 브랜드 스토리로 찾아 뵐게요.

 

현재 아웃백은 2021년 8월에 BHC (치킨 회사)로 인수된 상태입니다. 

출처 :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95%84% EC% 9B%83% EB% B0% B1%20% EC% 8A% A4% ED%85% 8C% EC% 9D% B4% ED%81% AC% ED%95%98% EC% 9A% B0% EC% 8A% A4%20% EC% BD%94% EB% A6% AC% EC%95%84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코리아

미국 의 패밀리 레스토랑 프랜차이즈 인 아웃백 스테이크의 한국 법인이다. 한국 의 아웃백 매장 수는 2024

namu.wiki

 

최초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코리아가 BHC에 인수된 이후, 비용 절감을 위해 그간 아웃백의 장점들을 다 깎아먹고 있다는 내부고발글이 아웃백 갤러리에 올라왔고, 아웃백 직원들 반응이 퍼지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당시에 커졌다.

BHC가 상당수의 식음료 메뉴들을 전자레인지로 해동 및 조리하는 냉동 제품이나 그마저도 필요 없는 완제품들로 대체할 거란 소식이었다. 그러나 BHC는 이 소문을 근거 없다고 부정하며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었다.

실제 직원의 말에 따르면 인수 이후 치즈스틱으로 변경되었다는 정보는 코로나 19로 감자 수급이 부족하여 부득이 치즈스틱으로 대체되었다고 하였으므로 사실이며, 립제품의 경우는 직접 그릴에서 구워져서 나가며 레인지로 해동/조리하는 건 근거 없는 루머라고 했다.

또한 투움바 소스 및 매장 내 대부분의 메뉴들은 완제품이 아닌 매장에서 직접 만들어서 제공된다고 한다. 논란이 된 투움바의 새우 역시 칵테일 새우가 아니라고 못을 박았다. 애초에 레스토랑 특성상 오픈형 주방 매장이 있기 때문에 직접 방문해서 조리 과정을 확인해 보면 된다.

(나무위키 일부)

 

관련 자료 출처 : 투움바 파스타 원조 맛집 아웃백, 3년간 660만 개 판매
https://www.fnnews.com/news/202503211349284384

 

투움바 파스타 원조 맛집 아웃백, 3년간 660만개 판매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는 대표 메뉴인 투움바 파스타가 지난 3년간 660만개가 팔렸다고 21일 밝혔다.아웃백 ‘투움바 파스타’는 2001년 국내에 처음 출시된 이후 24년 동

www.fnnews.com

 

관련 자료 출처 : 베니건스 이어 TGI도 추억 속으로…‘1세대’ 아웃백·빕스의 생존 방정식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23585

 

베니건스 이어 TGI도 추억 속으로…‘1세대’ 아웃백·빕스의 생존 방정식 - 시사저널

한국에 패밀리 레스토랑 붐을 일으켰던 ‘1세대 레스토랑’ TGI프라이데이스가 문을 닫는다. 국내에 들어온 지 33년 만이다. 베니건스, 마르쉐, 시즐러 등에 이어

www.sisajournal.com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브랜드 역사, 외식업계, 글로벌 레스토랑, 스테이크 맛집, 호주 테마 레스토랑, 패밀리레스토랑, 아웃백 인기메뉴, 외식트렌드, 아웃백마케팅

반응형